터널 사고 발생 시 행동요령
터널 사고 발생 시 대피방법
_
우리가 차를 타고 다니다 자주 보이는 터널은 철도, 수로, 도로 등을 통하게 하는 통로로 산 또는 땅속을 뚫어 만들어진 곳으로 주로 고속도로 이용 시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지나다니던 터널이지만 터널에서 발생되는 사고 피해는 일반 교통사고에 비해 높아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터널 사고에 대해 주의해야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이유는 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가시성의 감소: 터널 안으로 진입하면 주행 환경이 크게 달라지는데 터널 안은 자연적인 조명이 부족하고 주행 경로에 따라 조명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가시성이 감소하고 주행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터널의 긴급 상황: 터널 내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피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터널은 특히 화재, 사고 또는 기계 고장과 같은 상황에서 빠른 대응이 필요한 장소이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빠른 판단과 행동이 생명을 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 환기 부족: 터널은 자연적인 통풍이 부족한 폐쇄된 공간인데 따라서 유독 가스나 연기가 쌓일 수 있고 숨쉬기 어려운 공기가 터널 안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으며 이는 주행 중에 문제가 발생하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운전자의 집중력 저하: 터널 안에서는 주행 조건이 변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집중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가시성이 낮아지고 조명 변화, 반사 등으로 인해 운전에 필요한 시각적인 정보를 처리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이는 사고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터널 사고 유형과 터널 사고 발생 시 행동요령 및 대피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_
■터널 사고 유형
➀시야 미확보로 인한 사고
터널 진입 시 터널 안과 밖과 빛의 차이로 인해서 빛이 갑작스럽게 변화하면서 몇 초간 눈이 보이지 않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시야 확보가 되지 않을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어두운 터널 내에서는 선글라스 착용은 자제하고 전조등 사용으로 빛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_
➁무리한 차선 변경 및 과속으로 인한 충돌사고
주로 2차선 도로로 이루어진 터널에서의 앞지르기는 다중 추돌이라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데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터널 내 충돌사고 원인으로는 무리한 차선 변경으로 인한 충돌, 과속주행으로 인한 안전거리 미유지 등 다양한 사고 발생 원인이 있다고 합니다.
뻥 뚫린 도로에 비해 사방이 막혀있는 터널에서는 돌발 상황 발생 시 빠른 대처가 어려운데 따라서 터널 안에서는 앞지르기 및 주·정차 금지, 안전거리 유지는 필수로 규정속도를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_
➂터널 화재 발생 사고
터널 내 발생하는 사고는 터널 마비는 물론 2차, 3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데 터널 안에서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자동차의 결함이나 엔진 과열로 폭발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차량 간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차량 충돌 사고 시 자동차의 연료와 내연기관의 폭발 작용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며 때문에 평소 주행속도의 10~20% 감속하여 충돌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고 합니다.
많이들 터널에서 난 사고는 더욱 위험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터널의 경우 천장이 막혀있고 연기가 차게 되면 시야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더욱더 빠져나가기 어려워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며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안전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_
■터널 사고 발생 시 행동요령
터널 안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국토교통부는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는 터널 내 안전시설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비상벨
터널안에는 보다 빠른 대응을 위해 50m 간격으로 비상벨이 설치되어 있는데 긴급전화 혹은 휴대폰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터널 내의 화재 발생을 알리기 위해 비상벨을 눌러 경보하시길 바랍니다.
_
피난 유도등
터널에는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짧은 대피 거리를 알 수 있는 유도시설로 5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터널 밖으로 차량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갓길 또는 비상주차대에 정차 후 피난 유도등을 따라 대피하시길 바랍니다.
_
긴급전화
터널 안에는 250m 간격으로 긴급전화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현재 위치와 사고 상황을 도로 관리자에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_
옥내 소화전함
옥내 소화전함은 수동식 소화기와 구분되어 있으며 5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화재 시 소화기나 옥내소화전으로 화재를 진화하시길 바랍니다.
_
차량 및 대인용 피난연결통로
차량 및 대인용 피난연결통로란 터널 내 사고 발생 시 반대편 터널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구로 피난연결통로는 250m~30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화재 진화가 불가할 경우 피난연결통로 또는 터널 외부로 대피합니다.
_
비상 주차대
터널 안에는 비상 주차대는 750m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고장난 차량이 도로 측면에 정차할 수 있는 임시 장소로 다른 차량이 통행에 방해받지 않도록 비상 주차대를 이용하시길 비랍니다.
_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일반 교통사고에 비해 위험성이 높은 터널 사고는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터널 내 기본 수칙 준수로 터널 사고를 예방하시길 바라며 만일을 대비해 터널 내 안전시설을 기억해 두고 교통사고 없는 안전한 교통 문화가 확산되길 바란다고 국토교통부는 말했습니다.
본 내용은 국토교통부 내용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