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게이트 미납 요금 조회
톨게이트 미납 요금 납부방법
_
고속도로를 이용하다 보면 우리는 톨게이트를 만나게 됩니다.
톨게이트를 이용하다가 하이패스 충전을 미처 하지 못한 경우, 하이패스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는데 실수로 하이패스 차로로 이용한 경우 등 다양한 이유로 톨게이트 통행요금을 미납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후 미납 요금 납부 방법을 몰라 어려움을 겪거나 납부를 걱정하는 운전자들이 많은데 톨게이트 미납 요금 문제로 걱정하는 운전자들에게 '톨게이트 미납 요금 납부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설명에 앞서 하이패스 충전을 미처 하지 못한 경우, 하이패스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는데 실수로 하이패스 차로로 이용한 경우 등 이런 경우에는 일단 계속 진행해서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운전자가 급정거하거나 차선을 바꾼다면 뒤에서 오는 차량이나 주변 차량가 추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만약에 톨게이트 요금을 지불하지 못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면 급정거, 무리한 차선 변경, 후진 세 가지 행동은 절대 해서는 안된다고 도로교통공단은 설명하는데 그대로 톨게이트를 통과한 뒤 추후 미납된 요금을 납부하도록 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_
■톨게이트 미납조회
하이패스 미납 요금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이 미납 요금 조회 후 납부를 진행하시면 되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톨게이트: 방문납부
현금/신용(체크)카드 계좌이체/가상계좌
➡️금융기관(창구/ATM): 지로/가상계좌
현금/계좌이체/가상계좌
➡️GS25, CU편의점: 미납조회→본인인증→미납납부
현금/신용(체크)카드
➡️휴게소/주유소: 무인수납기/셀프주유소
• 무인 : 신용(체크)카드
• 셀프 : 신용(체크)카드
_
미납 요금, 집에서도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톨게이트 미납 요금 방문 납부가 어렵다면 고속도로 앱, 홈페이지 납부, 콜센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간편하게 지불이 가능합니다.
1. 고속도로 통행료 앱
✅고속도로 통행료 앱 다운
✅차량 등록 후 '미납요금조회' '미납요금납부' '미납통행료 관리' 메뉴를 통해 미납요금을 조회
✅'신용카드/계좌이체/기타결제수단'을 통해 요금 납부
_
2. 홈페이지 납부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에 방문 (www.hipass.co.kr)
✅'회원 미납 조회'를 통해 미납요금을 조회
✅'계좌이체/신용(체크)카드'를 통해 요금 납부
_
3. 콜센터
✅1588-2504 또는 1644-3362로 전화
✅요금조회 및 요금납부
_
■톨게이트 미납 과태료
상습적으로 톨게이트 통행요금을 미납하거나 미납 연체가 된다 면 미납 금액에 부가통행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부가통행료는 7개에 *고객 과실이 인정되는 항복에 대해 계속해서 미납 연체가 지속된다면 부과되며 통신 이상이나 톨게이트 측 내용 전달 부분에서 미납이 연체된다면 원통행료 납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톨게이트 미납 금액은 일반 우편 또는 전자고지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되며 1차 미납 안내문 > 2차 미납 고지서 > 3차 미납 독촉장 이후에도 미납된다면 국토부 승인에 따라 강제징수가 진행된다는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고객 과실 : 일반차로 무단 통과, 단말기 미부착, 카드 미삽입, 카드 잔액 없음, 카드 거래정지, 단말기 사용정지, 차종 불일치
[부가통행료 절차]
✅일반 우편/전자고지 / 1차 미납 안내문 / 원통행료
✅일반 우편/전자고지 / 2차 미납 고지서 / 원통행료
✅등기우편 / 3차 미납 독촉장 / 원통행료(부가통행료 부과 예고)
✅국토부 승인 / 강제징수 요청
_
통행요금 미납이 지속되어 1년 20회 이상 발생한다면 유로통 행법 시행령 제14조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되며 20회 이상부터 는 통행료의 10배 이상의 금액이 청구된다고 하니 톨게이트 납 부, 하이패스 요금을 사전에 확인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본 설명은 도로교통공단 출처를
기반하여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