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학생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을 여러분들 아시나요?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청소년들도 등·하교를 하거나 학원 등을 이동할 때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곤 하는데 경기도는 경제적 자립도가 낮은 청소년들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자 지난해 하반기부터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을 확대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이 무엇이고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_
2025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신청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은 신청일에 주민등록등본상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으며 해당 기간 내 수도권 대중교통을 이용한 만 6~18세에 해당하는 어린이,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지원받을 수 있는 사업입니다.
분기별 6만 원, 연 최대 24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본인 또는 대리인의 지역화폐를 통해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대중교통이 지원 대상이며, GTX, 신분당선까지 대중교통 범위를 계속해서 확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단, 공항버스, KTX, 고속버스 등 별도 탑승권을 발급받아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지원이 불가능한 점을 기억해 주시길 바랍니다.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신청은 단순히 대중교통을 이용한 후 자동으로 교통비가 들어오는 것은 아닌데 교통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청소년 또는 대리인이 직접 경기도 어린이 청소년 교통비 지원 플랫폼(www.gbuspb.kr)에서 신청해야 한다고 합니다.
본인확인 및 거주지 인증, 교통카드 및 지역화폐 등록 후 신청할 수 있으며, 다음 분기는 자동으로 신청됩니다.
신청한 교통비는 교통 데이터 수집, 경기도 거주 중 교통이용액 추출 등 여러 과정을 거쳐 지원금이 최종적으로 지급됩니다.
이 지원사업은 어린이와 청소년만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인데 과거에는 만 13세에서 23세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면 만 6~18세로 사업 대상 나이를 낮추고, 만 19세 이상 성인은 경기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The 경기패스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합니다.
본인 거주 지역, 나이 등을 확인하고 본인에게 알맞은 교통비 지원 사업을 이용했으면 좋겠다고 경기도는 전했습니다.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과 관련하여 궁금한 부분이 있거나 도움이 필요하다면 교통비 지원 고객센터(1577-8459)나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플랫폼에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_
본 설명은 경기도 출처를 안내로 작성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