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경기도 기후보험 가입 시행

by 딩도 2025. 3. 12.
반응형


경기도가 2025년 3월부터 전국 최초로 '기후보험'을 시행하고 기후위성 개발·발사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경기도에 따르면 기후보험은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모든 도민이 자동으로 가입되며, ▲온열질환·한랭질환 진단비 ▲감염병 진단비 ▲기상특보 관련 4주 이상 상해 시 사고 위로금을 정액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특히 기후취약계층(시군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약 16만 명은 추가 혜택을 받는데 구체적으로 ▲온열질환·한랭질환 입원비 ▲기상특보 시 의료기관 교통비 ▲기후재해 시 구급차 이송 서비스 ▲기후재해 정신적 피해 지원 등이 포함된다고 합니다.

기후보험 사업은 1년 단위 계약으로 운영되며 경기도는 이를 위해 자체 예산 약 34억원을 투입한다고 합니다.

 

_

경기도는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우주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후위성 개발·발사 프로젝트도 본격화한다고 합니다.

이달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하고 국내 최초로 기후 데이터 수집을 위한 초소형 인공위성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기존 국가 주도의 연구개발(R&D) 방식이 아닌 민간 주도로 추진되는 이번 기후위성 사업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도 정밀한 기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를 통해 기후정책 고도화,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국제 협력 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올해 2분기 내에 '기후펀드(공공주도 재생에너지 이익공유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도내 미활용 국공유지를 활용해 경기도주식회사가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립하고, 발전 수익 일부를 지역 주민들에게 환원하는 구조라고 합니다.

이외에도 '기후격차' 해소를 위해 '경기 기후 브릿지(Bridge) 프로젝트'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합니다.

경기도는 올해 3640억원을 투입해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에너지 취약지역 신재생에너지 보급, 기후행동 기회소득 등 총 121개 과제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앞서 김동연 지사는 지난달 26일 여주 SKB위성센터에서 '기후경제 대전환 3대 전략'을 발표하며 "기후위기는 대한민국 경제의 위기"라며 "더 이상 뒤처져서는 안 된다. 이제는 기후경제로 대한민국 경제를 대전환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지사가 제시한 '기후경제 대전환 3대 전략'은 기후산업에 최소 400조 원 이상 투자, 석탄발전소 전면 폐지, 기후경제부 신설 등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경제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대한민국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라고 합니다.

본 설명은 경기도 출처를 안내로 작성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