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전기차 화재 시 대처방법 행동요령

딩도 2025. 2. 4. 11:27
반응형


전기차 화재 시 대처방법 행동요령

전기차 화재 시 행동요령

_

전기차 화재는 내연기관 차량 화재와 비교할 때 몇 가지 이유로 더 위험할 수 있는데 간단하게 요약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배터리의 화재 특성
전기차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며, 이 배터리는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열폭주는 배터리 셀 내부에서 화학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면서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으로, 한번 시작되면 진화가 어렵습니다.

✔️높은 발화 온도와 지속성
리튬이온 배터리는 자체적으로 산소를 방출하면서 연소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화 방법(물이나 소화기)으로 쉽게 진압되지 않은데 또한 재점화 가능성이 높아 화재가 완전히 꺼진 후에도 다시 불이 붙는 경우가 많습니다.

✔️폭발 위험
배터리 내부의 전해질은 인화성이 강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화재가 발생하면 유독 가스(불화수소 등)를 방출하며, 배터리가 과열되거나 손상되면 폭발할 위험도 있습니다.

✔️소방 대응의 어려움
전기차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물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내연기관 차량보다 훨씬 오랜 시간 동안 냉각해야 하며 일부 경우에는 차량을 물속에 담가서 진화하는 방법도 사용됩니다.

✔️사고 후 화재 위험
전기차는 사고 후에도 배터리 내부의 손상으로 인해 지연 발화(delayed ignition)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즉, 사고 직후에는 불이 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차 화재는 기존 차량 화재보다 더 위험하며 예방 및 진압을 위한 특별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_

그렇다면 전기차 화재가 발생한다면 대처방법과 행동요령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전기차 화재 발생 시 이럴 때는 신속히 화재 발견 즉시 119와 관리사무소에 신고해 주시고 대피방송에 귀를 기울여주시기 바랍니다.

대피 시에는 노약자를 배려하며 피난계단으로 이동 후 방화문은 닫고 나가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피난계단을 통해 피난층 또는 지정 대피장소로 이동해주시면 됩니다.

다급한 상황에서도 올바른 행동요령을 통해 모두 안전하길 바랍니다.

_

본 설명은 국토교통부 출처를 안내로 작성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