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택임대업2

주택임대소득 과세대상 및 계산법 주택임대업을 통한 사업소득인 '주택임대소득'은 과세대상에 해당되는데 주택임대시장은 서민의 주거생활안정과 주택가격의 안정화 등의 목표와 밀접한 연관이 있어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과세는 몇 차례 정책적인 변화를 겪어왔습니다.현재 우리 세법상 '주택임대소득'은 주택임대업이라는 사업을 통해서 벌어들이는 소득이라는 점에서 사업소득에 해당합니다.사업소득은 근로소득 등의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과세된다는 점에서 종합소득에 해당하는데 따라서 주택임대소득이 있는 사람은 종합소득에 대한 신고, 납부를 해야 합니다.또한, 주택임대업은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면제사업이라는 점에서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의무는 없으나 사업장 현황신고 의무는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임대소득의 과세대상과 과세방법 등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_주.. 2024. 9. 23.
주택임대업 사업자등록 신청 및 대상자 주택임대업 사업자등록 _ 주택임대업과 관련되신분들은 사업자등록을 의무적으로 해야하는데 방법을 잘 모르시는분들이 계시는 것 같아서 이에 자세한 안내드리겠습니다. _ ■주택임대업 사업자등록 사업자등록 신청 사업 개시일부터 20일 이내에 사업자등록신청서를 사업장 소재지1) 관할 세무서장에게 제출2) 1) 임대주택법상 임대사업자로 등록한 사업자는 그 등록한 주소지(사무소 소재지)를 사업장으로 하여 관할 세무서장에게 사업자등록신청 할 수 있음(서면인터넷방문상담1팀-728, ʼ06.06.05) 2) 임대주택명세서 첨부(「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따른 임대사업자 등록증 사본으로 갈음 가능) _ 사업자등록 미신청 가산세 참고로 사업자등록 대상자가 미신청시 이에 따른 가산세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가산세 부.. 2023.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