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7 실업급여 부정수급 신고방법 (포상금은 얼마?) 실업급여 부정수급은 범죄입니다.✔️실업급여 부정수급으로 적발될 경우• 실업급여 전액 반환 및 최대 5배 이하 추가 징수• 실업급여 지급중지• 여러 번 부정수급으로 적발된 경우 향후 실업급여 수급제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사업주가 부정수급에 가담할 경우• (부정수급자와 함께) 반환 및 추가징수 처분, 형사처벌[실업급여 부정수급 사례]❶실업급여 부정수급 사례"지인 회사에서 잠깐 일을 「몰래」 도와줬어요""생계가 어려워서 하루, 이틀 배달 (아르바이트)을 「몰래」 했어요"➡️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하루라도 일을 했다면 실업인정일에 반드시 신고↓임금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미 신고 시, 부정수급 해당❷실업급여 부정수급 사례"아직은 취업할 생각이 없어서 친구나 주변 식 당에서 얻은 명.. 2024. 9. 8. 실업급여 부정수급 자진신고 방법 고용노동부는 2024년 9월 2일부터 10월 1일까지 한 달간 고용보험 부정수급 집중신고기간을 운영한다고 합니다.이 기간 실업급여, 육아휴직급여, 고용장려금, 직업능력개발훈련비 등 고용보험 각종 급여와 지원금을 부정한 방법으로 지급받은 행위(부정수급)에 대해 자진신고와 제보를 받는다고 합니다.자진신고와 제보*는 온라인(고용24 홈페이지, 국민신문고)이나 거주지 관할 지방고용노동(지)청 부정수급조사 부서를 방문하여 신고하거나, 팩스, 우편으로도 신고할 수 있으며, 부정수급 당사자 외에도 제3자도 제보할 수 있습니다.* 익명 제보도 가능하나 이 경우 제보자를 확인할 수 없어 신고포상금이 지급되지 않음이 기간에 실업급여 부정수급을 자진신고하면 최대 5배의 추가징수를 면제하고, 부정수급액‧처분 횟수 등 범죄의 .. 2024. 9. 3. 사업장 이전 실업급여 신청 조건 사업장 이전을 한 경우 회사에서 본인을 자르진 않았지만 거리가 너무 멀어져서 어쩔 수 없이 퇴사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이렇게 사업장 이전할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_■사업장 이전 실업급여일단 실업급여란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 소정의 급여를 지급해 생계 안정 및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 주는 제도를 말합니다.실업급여를 받기 위한 기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실업급여를 수급하기 위해서는 다음 4가지 조건에 모두 충족해야 함① 기여기간(180일 이상)② 비자발적 퇴사③ 실업상태④ 적극적 구직활동_하지만, 자발적 퇴사인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사유들이 있는데 이번엔 그중 ‘통근이 곤란한 경우’에 대해 사례로 알려드리겠습니다.[사례1]Q. 회사 이전으로 출.. 2024. 4. 30. 실업급여 취업촉진수당 종류 및 신청방법 (실업급여 혜택) 실업급여 취업촉진수당 실업급여 혜택 _ 고용보험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생활 안정을 도우며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 주는 제도인데 실업급여는 실업에 대한 위로금이나 고용보험료 납부의 대가로 지급되는 것이 아닌 수급자격자의 재취업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제도인 만큼 구직급여 외에도 '취업촉진수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_ ■취업촉진수당 종류 취업촉진수당 종류는 조기재취업 수당, 직업능력개발수당, 광역구직활동비, 이주비 등이 있습니다. 이들의 내용은 무엇이고 신청은 어떻게 하는지 상세한 안내를 드리겠습니다. _ 1. 조기재취업수당 조기재취업수당은 구직급여 수급자격자가 대기기간*이 지난 후 재취업한 날의 전날을 기준으로 소정급여일수를 1/2 이상 남기고 재취업한 경우.. 2023. 3. 2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