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럼피스킨병 이란 바로알기 (럼피스킨병 증상, 전염, 소고기 영향 정리)

by 딩도 2023. 11. 4.
반응형


럼피스킨병 이란 바로알기

럼피스킨병 증상, 전염, 소고기 영향 정리

_

요즘 뉴스에 럼피스킨병이라는 내용이 많이들 올라오는데 럼피스킨병은 무엇이고 어떤 증상들과 영향이 있으며 오해에 대한 진실까지도 알려드리겠습니다.

_

■럼피스킨병

 

먼저 럼피스킨병이란 소의 전신에 지름 2∼5㎝의 피부 결절(단단한 혹)이 나타나며 추가로 유량 감소, 비쩍 마름, 가죽 손상, 유산, 불임, 고열, 침흘림, 눈과 코의 분비물 증가 등의 심각한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는 제1종 가축전염병입니다.

럼피스킨병의 감염 경로는 모기 등의 흡혈 곤충,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사료, 직접 접촉, 오염된 주사기 사용 등에 의해 소와 물소만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입니다.

폐사율은 10% 이하로 알려져 있지만 전염력이 구제역처럼 매우 강해 국내 제1종 법정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럼피(Lumpy)는 혹이라는 뜻으로 Lumpy Skin 병이라는 이름은 피부에 단단한 혹이 난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_

1929년, 잠비아에서 처음 발견되어 1943년부터 1945년 사이에 보츠와나, 짐바브웨, 남아프리카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그 후로 북쪽으로 점차 확산되어 1989년에 이스라엘에 확산되었으며 2013년부터 유럽과 러시아로 점점 확산되면서 2019년에는 방글라데시에서 최초 보고되었고 2022년에는 파키스탄과 인도에서, 2023년에는 네팔에서 대유행을 일으켰으며 그리고 2023년 10월 19일(목) 충남 서산시 소재 한우농장에서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확진 사례가 보고되었다고 합니다.

 

_

■럼피스킨병 팩트 체크


럼피스킨병에 대한 오해와 사실이 아닌 내용이 인터넷에 떠돌고 다니는데 농림축산식품부가 밝힌 팩트체크를 알려드리겠습니다.

Q1. 럼피스킨병은 사람에게도 전파된다?
럼피스킨병은 소만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 가축질병입니다.

Q2. 감염된 소고기가 시중에 유통될 수 있다?
럼피스킨병에 감염된 소가 발생된 농장은 모든 소를 살처분하고 있어 식품 유통망에 유입되지 않아 소비자께서는 안심하셔도 됩니다.

Q3. 소고기와 우유 가격이 오를 수 있다?
일시이동중지 등의 명령으로 인한 이동제한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한우 가격이 상승할 수 있지만 사육 마릿수 등을 고려할 때 수급이나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고, 원유도 가격 결정 특성상 가격 변동은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Q4. 백신 접종으로 확산을 막을 수 있나요?
네 외국의 접종 사례를 볼 때 백신 접종으로 충분이 방어가 가능하다고 하며 사전에 비축 중인 백신 54만 마리 분량 이외 4백만 마리 분을 추가 수입하여 전국 모든 소에 대해 백신을 접종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Q5. 백신 방어효과는 얼마동안 유지되나요?
백신 제조사에서는 접종 후 3주가 지나면 항체가 형성되어 방어 효과가 1년간 유지되고, 접종 1년 뒤에는 추가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Q6. 백신은 언제까지 접종을 완료할 계획인가요?
추가 400만 마리 분을 2023년 10월 말까지 들여외 2023년 11월 초순경 전국 모든 소에 대해 백신 접종을 완료할 계획

Q7. 럼피스킨병이 공기를 통해서도 전파되나요?
세계동물보건기구(WOAH)는 럼피스킨병은 주로 흡혈곤충에 의해 전파가 되며, 같은 농장 안에서 일부 소의 분비물, 주사기 재사용 등 접촉감염에 의해서 전파된 사례도 있으나, 공기를 통해서 전파된 사례는 없습니다.

Q8. 구제역 백신과 같은 시기에 접종을 해도 되는지?
네 해외에서 구제역 및 럼피스킨병 백신을 동시에 접종한 사례가 있었으나 문제가 없었습니다.

Q9. 럼피스킨병 발생농장의 살처분 보상금은 일부만 지급하나요?
럼피스킨병 살처분 발생 농가는 살처분 보상금 전액(100%)을 지급하지만 다만,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라 발생 농장이 소독 방역시설 미구비, 방역기준 명령 등을 미준수했을 경우 살처분 보상금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Q10. 럼피스킨병 감염된 소만 살처분 하는 게 비용 등 경제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 아닌지?
백신 전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선별적인 살처분을 하면, 바이러스가 확산될 우려가 높다고 하며 모든 농가의 항체가 충분히 형성된 이후, 선별적인 살처분 조치 등 살처분 범위 등을 재검토하겠다고 합니다.

Q11. 럼피스킨병 발생으로 한우 수출이 금지되나요?
아니오 럼피스킨병이 발생하지 않은 지역의 한우는 수출국과 협의를 통해 수출이 가능합니다.

Q12. 같은 소과(科)인 양, 염소 등은 감염되지 않나요?
네 럼피스킨병은 소, 젖소, 물소만 감염됩니다.

Q13. 흡혈곤충 등 방제를 위한 살포 가능한 살충제는?
흡혈 곤충 등을 대상으로 허가된 살충제는 총 95종이 있으며, 세부적인 살충제 목록은 농림축산검역본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13. 백신 접종으로 확산을 막을 수 있나요?
동물용 살충제는 다음의 주요 사용상 주의사항에 따라 사용하여야 사람, 동물과 환경 안전 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세부 요령은 농림축산검역본부 홈페이지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_

본 내용은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