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령연금7

노령연금 연기제도 신청 (노령연금 지급금액 늘리기) 노령연금을 받을 때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찾기 위해서 검색들 하실 텐데 노령연금 수급 시 지금금액을 늘리기 위해서 노령연금 연기제도에 대해서 아시나요?노령연금 연기제도란 노령연금 수급자가 희망하는 경우 연금 지급을 최대 5년까지 연기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노령연금의 지급을 연기한 기간만큼 연금액을 더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고령자의 근로의욕을 고취하고 노후 소득 보장을 강화하려는 취지에서 설계되었는데 노령연금 수급 연령은 출생연도별로 만 60세~65세이고, 연기 가능 기간은 최대 5년(출생연도별 지급연령+5세까지)으로,  연기 기간의 매 1개월마다 최초 연기 신청한 연금액의 0.6%(연 7.2%)가 가산되기 때문에 최대 5년 연기 시 총 36%가 가산됩니다._연금연기 활용방법✔️연금액을 늘리고 싶다면?연금.. 2025. 4. 4.
만나이 도입 국민연금 받는 시기 만 나이 도입 국민연금 받는 시기 어떻게 될까요? _ 2023년 6월 28일부터 만 나이 도입이 시행되는데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태어날 때 1살이 되고 새해가 되면 1살씩 늘어나는 세는 나이(한국식 나이)와 태어난 때를 0살로 하고 그로부터 1년이 지나 생일이 되면 1살씩 증가하는 '만 나이'를 함께 사용해 왔는데 '만 나이' 사용이 보편화되면 전 국민의 나이가 기존 사용했던 한국식 '세는 나이'보다 1~2살씩 내려가게 됩니다. _ ■만나이 도입 국민연금 많은 분들이 생각하시는게 만 나이가 도입되면 국민연금 받는 시기도 늦어지는지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론만 답을 드리자면 아닙니다. 그 이유는 국민연금에서 정한 나이 기준은 원래 만 나이이기 때문인데 국민연금 수급 연령뿐 아니라 가입 연령에도 만 나이가 .. 2023. 5. 8.
노령연금 금액 사람마다 지급액이 다른 이유 노령연금 금액 사람마다 지급액이 다른 이유 정리 _ 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면 출생 연도별 지급개시연령 이후부터 평생 동안 매월 지급되는 국민연금의 가장 대표적인 급여입니다. 노령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본인의 출생연도별 지급개시 연령은 위에 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_ ■노령연금 금액 차이 수급 개시 이후 매월 평생 지급되는 노령연금은 개인마다 연금액이 다른데 도대체 노령연금액이 개인마다 다른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드리겠습니다. 노령연금액은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 납부한 보험료와 납부기간에 따라 달라지는데 같은 기간을 납부하더라도 해당기간 동안 본인이 납부한 보험료에 따라 노령연금액은 달라지게 된다고 합니다.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소득이 100만 원(월 보험료 9만 원)인 분과 3.. 2023. 5. 4.
노령연금 종합소득세 납부 해야하나요? 노령연금 종합소득세 납부여부 _ 노령연금 관련하여 정보를 찾아보던 도중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노령연금을 받는데 그런데 얼마전에 종합소득세 신고 알림이 왔는데 다른 소득 없이 노령연금만 받고 있는데 종합소득신고를 해야 하나요?" 결론을 먼저 답을 드리자면 노령연금 외에 별도로 소득이 없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신고 대상인 다른 소득이 있다면 국민연금을 포함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또한 국민연금의 급여 중 노령연금과 분할연금, 연령도달 반환일시금은 과세 대상이지만 장애연금과 유족연금은 비과세 대상입니다. 2002년 이후 납부한 국민연금 보험료는 소득 공제를 받을 수가 있는데 즉, 매 월 내는 보험료는 소득공제를 받고, 받는 연금에 대해서는 소득세가.. 2023.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