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시 1인가구 정책2

서울시 1인가구 지원 정책 혜택 총정리 서울시 1인가구 수가 매년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약 163만 가구로 전체가구(414만 가구)의 39.3%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이에 서울시는 대표적인 가구형태가 된 1인가구에 대한 체계적 지원을 위해 지난 2022년 1월 중장기 계획인 ‘1인가구 안심 종합계획(2022~2026)’을 발표하고, 변화된 정책환경 대응을 위해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 촘촘한 1인가구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올해 서울시는 ‘2025년 서울시 1인가구 안심시행계획’을 수립, 1인가구가 혼자여도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일상지원 ▴자립지원 ▴연결지원 3개 분야의 맞춤형 지원체계를 강화한다고 합니다.이번 시행계획에는 그간 다른 세대에 비해 정책적 지원이 부족했던 중장년에 대한 사업을 확대하고, 그동안.. 2025. 4. 4.
서울시 1인가구 프로그램 지원정책 총정리 서울시는 1인가구가 전체 가구의 38.%를 차지하는 가운데, 1인가구가 집 또는 직장 근처에서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습니다.프로그램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뛰는 러닝크루부터 생애 첫 종잣돈 만들기, 은퇴설계를 위한 투자 전략 등 경제교육, 집단상담까지 다양하게 마련됐다고 합니다.서울시는 25개 자치구별로 하나씩 위치한 '1인가구지원센터'를 통해 6월 한 달간 1인가구의 관심사 및 특성을 반영한 (6월 기준)총 216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으며 참여규모는 총 5천여 명이며 참가비는 모두 무료라고 합니다.1인가구지원센터에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크게 ▲여가문화·체험·교육 프로그램 ▲사회적 관계망 프로그램 ▲상담 프로그램 등 3가지로 구성됩니다.여가문화·체험·교육.. 2024.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