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연금5

2025년 기초연금 신청방법 및 수급자격 보건복지부는 2025년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을 단독가구 월 228만 원, 부부가구 월 364만 8,000원으로 결정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노인 가구별 월 소득인정액**이 해당 선정기준액 이하이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선정기준액) 65세 이상 노인 중 기초연금 수급자가 70%가 되도록 소득‧재산수준, 생활실태,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금액(법 제3조)** (소득인정액) 노인가구의 근로소득, 연금소득 등 소득과 일반재산, 금융재산, 부채 등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한 금액2025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2024년 대비 15만 원(단독가구 기준) 높아졌으며 이는 65세 이상 노인의 근로소득이 지난해보다 11.4%, 공적연금 소득이 12.5% 상승한 영.. 2025. 1. 4.
거주불명자 기초연금 신청 방법 거주불명자 기초연금 _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법'에 근거한 저소득층 노인, 즉 가구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만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의 국내 거주자에게 지급되는 공적연금(公的年金)입니다. 기초연금 대상자격은 만 65세 이상이고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계시며 국내에 거주하는 어르신 중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분에게 지급 됩니다.(직역연금 수급권자 및 그 배우자는 제외) _ ■거주불명자 기초연금 많은 분들이 거주불명자같은 경우는 정부 혜택 및 복지 지원에 소외되는 경우가 많이서 기초연금도 못받는자 궁금해 하시는 경우도 계십니다. 하지만 결론만 답을 드리자면 거주불명등록이 되어 있더라도 기초연금을 신청(국민연금공단 지사, 읍·면·동 행정복지센터)하실 수 있으며, 선정기준에 적합한 경우 .. 2023. 1. 23.
국민연금 기초연금 중복 가능 여부 국민연금 기초연금 중복 _ 기초연금은 어르신들의 편안한 노후생활을 도와드리면서 미래세대의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도입된 제도이며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 가구 중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분들에게 지급됩니다. 가끔 여러 노인분들의 잘못된 생각이 있는데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함께 받을 수 없다는 잘못된 정보 때문에 국민연금 안 내고 기초연금 받는 것이 이득이라고 오해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결론만 답을 드리자면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기초연금 수급대상에 해당하면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모두 받을 수 있는데 이에 자세한 안내드리겠습니다. _ ■국민연금 기초연금 중복 앞서 드린 설명처럼 기초연금의 기본적인 수급자 선정 기준은 연령과 소득인정액이므로 국민연금을 받고 있다고 해서 기초연금을 받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 2023. 1. 22.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 및 중복 가능 여부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 총정리 _ 나이가 들거나 슬슬 노후준비를 하는 경우 가장 생각나는 단어가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인데 두개의 차이점을 잘 모르고 중복이 가능한지에 대한 생각을 들게 되는데 두개 이름도 비슷하고 뭔가 같은건지 다른건지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이 자세한 안내드리겠습니다. _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 기초연금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소득수준에 따라 지급되는 제도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의 편안한 노후 생활을 보장해드리기 위해 매월 드리는 연금인데 노령연금과 다르게 소득인정액이 일정 수준 이하(하위 70%)인 분이라면 누구나 수급 자격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이란 월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 _ 노령연금 가입 기간 10년 이상, 가입 기간 .. 2023. 1. 21.